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장비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무기 플랫폼 === 본작에서는 '''무기 플랫폼'''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간단히 말하면 하나의 총기를 기반으로 탄종 컨버전이 가능했던 전작에서 나아가, 같은 시스템의 탄종만 다른 버전을 모두 구현하는 테크트리 방식인데, 여기에 모든 총기들이 공유하는 부착물인 총구, 전방 손잡이, 조준경 등의 부착물들은 한 총기에서만 여는 대신, 그 총기에서 열면 다른 총들에도 사용 가능한 방식으로 바뀌어, 무기 레벨이 50~70대까지 치솟던 전작들에 비해 대부분 레벨 20까지 줄어들었다. 이 시스템으로 실총에 가까운 모딩을 전작보다 더욱 쉽게 할 수 있게 되었음은 물론 몸통을 바꾸기만 해도 간단히 파생형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mhdzGC9H2VYNk-R7CYMWDWGrU_mUNxnH|재현 영상 목록]] 이 문단에서는 작중 등장하는 무기군을 하나로 묶는 플랫폼에 대해 설명한다. 볼드체 처리된 무기는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무기로, 플랫폼의 무기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무기를 먼저 해금해야 한다. * [[AR-15|M4 플랫폼]] - 포지택 및 템푸스 사에서 생산하는 서구권 표준 무기 플랫폼. * AR - '''M4''', M16 * BR - FTAC 리콘 * SMG - FSS 허리케인 * LMG - 556 이카루스 * DMR - 템푸스 토렌트 * [[AK-47|카스토비아 플랫폼]] - 카스토프 자동소총(Avtomat Kastov). 7.62mm 및 5.45mm 탄약같은 소총탄과 9×18mm탄을 쓰는 권총탄을 사용하는 총기 플랫폼. 어원은 전작에 나왔던 [[베르단스크]]가 위치한 국가인 카스토비아이다. 특별히 도안같은게 없는 카스토프 소총은 베르단스크 조병창, 일부 도안 카스토프들은 VLK나 이바노프같은 러시아 기업, 또는 서방세계 기업에서도 생산한다. * AR - '''카스토프 762''', 카스토프 545, 카스토프-74U * SMG - 바즈네프-9K, 미니박 * LMG - RPK * SG - KV 브로드사이드 * [[H&K G3|라흐만 & 미어]] - Lachmann & Meer. FSS사에서 생산하는 다양한 탄종을 사용하는 스위스제[* 약실검사 버튼을 눌러 총기를 보면 Made in Switzerland 라고 적혀있다.] 롤러 로킹 메커니즘 플랫폼. 작중 등장하는 모든 라흐만 미어 플랫폼 무기들은 G3 계열 총기들의 민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했으며, 탄창 뒤에 레버 멈치가 없다는 점을 통해 식별 가능하다. 그 외 VEL-46을 비롯한 같은 기업 총기들도 스위스에서 제작되었다. * AR - 라흐만-556 * BR - '''라흐만-762''' * SMG - 라흐만 서브, 라흐만 슈라우드 * LMG - RAPP H * DMR - LM-S * [[슈타이어 AUG|브루엔 불펍 플랫폼]] - 불펍 무기 플랫폼. 오스트리아 또는 호주의 총기인 것이 본작에서는 스위스제 총이 되어버렸다. * AR - '''STB 556''' * SMG - MX9 * LMG - HCR 56 * [[FN SCAR|택틱 베르트]] - 프랑스제 무기 플랫폼. * AR - '''TAQ-56''' * BR - TAQ-V * DMR - TAQ-M * [[M14 소총|오드넌스 웨폰]] - EBR-14, SO-14의 무기 플랫폼. * BR - SO-14 * DMR - '''EBR-14''' * [[모스버그 500|브라이슨 800 시리즈]] - 브라이슨제 펌프액션 산탄총 플랫폼. * SG - '''브라이슨 800''', 브라이슨 890 * [[레밍턴 M700|브라이슨 롱 라이플]] - Bryson Long Rifle. 다양한 탄종의 볼트액션 저격총 플랫폼. * DMR - '''SP-R 208''', SA-B 50 * SR - LA-B 330, SP-X 80 * [[글록|XRK 플랫폼]] - XRK제 X계열 권총 플랫폼. * HG - '''X12''', X13 오토 * [[SIG MPX|브루엔 옵스]] - 베타에서 공개된 플랫폼이지만 정식으로 발매한 후 BAS-P, 키메라만 캠페인에 등장했는데 시즌 1에서 정식 등장한다. * AR - '''M13B''', 키메라, M13C * SMG - BAS-P * [[IMI Desert Eagle|사킨 G 시리즈]] - 대구경 자동권총 플랫폼. 전작에서 포지택이 제작한것으로 나온 이력을 보면 전작은 포지택 사의 자체생산, 본작에서는 사킨 암즈의 위탁생산으로 갈린다. 시즌 3 리로디드로 기관권총 버전인 GS 마그나가 추가되었다. * HG - '''.50 GS''', GS 마그나 * [[B&T APC|ISO 플랫폼]] - ISO 햄록, ISO 45의 무기 플랫폼. 전작의 ISO 기관단총과 같은 플랫폼이다. * AR - '''ISO 햄록''' * SMG - ISO 45, ISO 9mm 여러 무기를 포함하는 플랫폼이 있지만 모듈러 설계를 이용해 단독으로 여러 형태로 만들 수 있게 구성된 플랫폼도 존재한다. 아래는 그 목록 * [[H&K MP7|LMP]] - Lachmann Machine Pistole. 벨 46의 무기 플랫폼. * [[FN P90|택틱 디펜스]] - PDSW 528의 무기 플랫폼. * [[KRISS Vector|페넥]] - 페넥 45의 무기 플랫폼. * [[SIG MG338|RAAL]] - RAAL MG의 무기 플랫폼. 전작 모던 워페어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 무기 설명에서 유래했다. '''R'''econnaissance '''A'''uxiliary '''A'''ssault '''L'''ightweight Machine Gun(정찰용 보조 돌격 경기관총)의 약칭. * [[네게브 기관총|사킨 MG]] - 사킨 MG38의 무기 플랫폼. * [[더블 배럴 샷건|락우드 스포츠]] - 락우드 300의 무기 플랫폼. * [[베넬리 시리즈|엑스페다이트]] - 엑스페다이트 12의 무기 플랫폼. * [[마를린 1895|마크 2]] - 락우드 Mk2의 무기 플랫폼. * [[바렛 MRAD|MCPR]] - MCPR-300의 무기 플랫폼. '''M'''ulti '''C'''aliber '''P'''recision '''R'''ifle(다구경 정밀소총)의 약칭. * [[Arctic Warfare|임페라토리움]] - 빅터스 XMR의 무기 플랫폼. 베타 버전에서 처음 나와 발매일 때에는 나오지 않았는데 시즌1에서 정식 등장한다. * [[게파트 대물 저격총|시그널]] - 시그널 .50의 무기 플랫폼. * [[SIG P220|브루엔 890]] - P890의 무기 플랫폼. * [[S&W M500|바실리스크 500]] - 바실리스크의 무기 플랫폼. * [[석궁|크로스보우]] - 크로스보우의 무기 플랫폼. * [[CheyTac Intervention|임페리움]] - FJX 임페리움의 무기 플랫폼. * [[KG-9|시즈]] - FTAC 시즈의 무기 플랫폼. * [[HS VHS|티달 리콘]] - 템푸스 레이저백의 무기 플랫폼. * [[볘프르 소총|가이스트]] - 우크라이나의 우셴코 조병창제 차세대 불펍 라이플 풀랫폼.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